어떠한 정방 행렬

이 때, 그 특정 벡터
주성분 분석(PCA), 선형판별분석(LDA), 시계열분석의 주요 추세와 패턴, 고전적인 이미지 처리, 추천시스템 등에서 행렬을 분해하는 기법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Reference)
데이터 사이언스 인터뷰 질문 : https://github.com/zzsza/Datascience-Interview-Questions
GitHub - zzsza/Datascience-Interview-Questions: Datascience-Interview-Questions for Korean
Datascience-Interview-Questions for Korean. Contribute to zzsza/Datascience-Interview-Question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기초 노트 > 인공지능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수준 95%의 의미 (0) | 2024.04.22 |
---|---|
샘플링(Sampling)과 리샘플링(Resampling) (0) | 2024.03.06 |
빈도 주의자와 베이지언 주의자 그리고 불확실성(uncertainty) (5) | 2024.03.01 |
함수의 4가지 종류 -일변수 스칼라함수, 일변수 벡터함수, 다변수 스칼라함수, 다변수 벡터함수 (0) | 2023.06.18 |
수학적 확률의 정의와 근원사건 : 주사위의 눈이 1이 나올 확률은 정말 1/6인가? (0) | 2023.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