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육각형을 가장 효율적인 도형의 한 형태로 알고 있을 것이다. 특히, 벌집이 육각형으로 구성되어 구조적 안정성과 효율적인 면적 사용을 확보했다는 이야기는 어린 시절 과학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야기 중 하나다. 컨볼루션 레이어의 필터는 많고 많은 도형중에 왜 정사각형을 채택한걸까? 일반적으로 컨볼루션 레이어는 위의 그림과 같이 각 채널에 대해서 w1 ~ w9의 가중치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형태의 3x3의 필터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굳이 정사각형의 형태를 채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좀처럼 다뤄지지 않은 것 같다. 대부분의 딥러닝 강의나 교재 등에서도 다뤄지지 않은 부분이고, 나 역시 이를 의심없이 받아들여 왔다. 위의 벌집의 예시처럼 육각형 형태라던지(물론 사각형의 형태가 가장 무난한 형태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