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4

media reality - 미디어가 '현실'을 반영하는가, 현실이 '미디어'를 따르는것인가?

인터넷 서핑을 하다 위 사진 한번쯤은 마주친 적이 있을 것이다. ​ 지문의 내용은 사실 잘 기억이 나질 않지만, 수능 영어 공부를할때 마주쳤던 지문에 나오는 주제 였다. 흥미로워서 몇번 찾아봤던걸로 기억을 한다. 주 요체는 '미디어가 과연 현실을 담고 있는것인가, 현실이 미디어의 리얼리티를 따라가고 있는것인가'를 반문하는 내용이었던것 같다. ​ 내가 수능을 봤던 때가.. 벌써 까마득한데 그 이전에 쓰여졌을 글이니 길면 10여년전의 글일것이라고 짐작이 된다. 그 시절이라면, 매스미디어의 대표 선배쯤 되는 신문,잡지,TV가 성행하던 시절의 글이었는데 뉴미디어로 불리는 SNS,유튜브,인터넷 방송등이 선배를 열렬히 뛰어넘은 지금 참 잘 맞아 떨어지는 내용이었다. ​ 미디어는 우리 삶을 담아내는 그릇이다. 삶의 ..

수학적 확률의 정의와 근원사건 : 주사위의 눈이 1이 나올 확률은 정말 1/6인가?

보통 우리가 확률을 이야기 할때, 주사위 던지기 게임, 동전던지기 게임을 예시로 많이 든다. 가장 명료하면서도 확률의 여러 개념들을 포괄하는 예시이기 때문이다. 가장 처음에, 누구에게나 하는 질문이 이거다. 주사위를 던졌을 때 주사위 눈이 1이 나올 확률은 몇일까? 보통은 이렇다, "잘 알고 있듯이 1/6입니다. 여러분은 확률을 잘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껏 배워왔던 대부분의 확률은 이러했고, 우리는 확률과 아주 친숙함을 주입되어왔다. 그런데, 정말 주사위 1의 눈이 나올 확률이 1/6이라고 보장 할 수 있을까? 사실은, 주사위에 누군가 임의의 조작을 걸어서 정육면체의 큐브형 주사위가 아니라 '1'의 면이 울퉁불퉁해서 다른면 보다 덜 나오게 세팅이 되었다고 한다면.. 그래도 1/6이라고 말 할 수 ..

GPT시대? 결국 중요한것은 사고력

최근 몇 달동안 "챗지피티"가 사람들 입에 가장 많이 오르 내린 단어 중 하나 였을 것임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을것이다. 물론, 그 녀석이 그 몇 달전에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사실 언젠가부터 스마트폰 생체인식은 물론이요, 아파트 공동현관에 얼굴인식이 시작되기도 하였다. 다양한 자동 번역서비스들, 음성인식 기술들, 나열 하는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AI서비스는 곳곳에 만연하다. 우리는 '대' AI시대의 현재 진행형임을 인정 하지 않을래야 않을수가 없다. 뜬구름 잡는것만 같던 4차 산업혁명의 현장을 우리는 생생히 살아가고 있는것이다. 우리가 3차 산업혁명의 현장을 교과서 속에서 배울 수 있었듯 아직도 긴가 민가 하기만한, 4차 산업 혁명의 시기라고 일컫어지는 우리의 시대가 후대에 과연 어떤..

이어드림 스쿨 3기 합격

작년 말, SSAFY 9기와 KT AIVLE 스쿨 3기를 지원했으나 싸피 같은경우에는 에세이와 CT를 풀고 1차에서 탈락하였고, 에이블 스쿨의 경우 대학교 졸업 관련 시험 일정이 겹쳐 일부 테스트를 응시 하지 못한채로 아쉬움을 뒤로 했어야 했다. 지난달, 스스로 학부동안 무언가 이루지 못하고 부끄러움을 가득한채 졸업을 한 뒤 정말로 Official 백수가 된 나였기에 무어라도 합격의 기쁨, 성취의 순간이 어느때보다도 고픈 심정이었는데 여러번의 고심끝에 지원한 이어드림 스쿨 3기에 최종 합격 통보를 받게되었다. 이어드림스쿨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패스트캠퍼스의 합작으로 진행되는 사업이자 교육이다. 데이터와 AI,인공지능에 관하여 다른 여타 부트캠프나 교육기관보다 탄탄한 커리큘럼이 제시되어 있었고 이에 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