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4

앵커박스(Anchor-box)와 바운딩 박스(Bounding-box)의 차이

Object detection 논문에서 'Box regression' 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곤 하는데, 매번 등장할때마다 대충 넘어갔던 개념! 앵커박스와 바운딩박스의 이해를 바로 잡고자한다.왜인지는 모르겠으나 필자 같은 경우 여기서의 Box를 당연히 (Bounding)Box Regression으로 생각했고, 이 때문에 이해가 뒤죽박죽이 되었다. Bounding-box Regression라고 이해한다면,바운딩 박스의 Regression일까? 바운딩 박스로의 Regression일까?주체인걸까 대상인걸까?이것만 명확히해도 사실 헷갈릴 게 없었다. 필자는 'Box Regression'이라는 표현을 마주했을때 Box가 주체적인 단어라고 생각을 했기에이러한 관점에서의 Box Regression은 사실 (Anchor..

판다스 데이터 프레임 인덱싱 유의점들

판다스 데이터프레임의 인덱싱은 크게 세가지 방법이 있다. 1. ' [ ] ' 연산자2. iloc '위치 기반 선택'3. loc '라벨 기반 선택'  1.  '[ ]' 연산자  @ka : 칼럼지정 연산자, 행 슬라이싱, 불리언 인덱싱데이터프레임에 ' [ ] ' 연산자를 적용, df ['column_name'] 와 같이 사용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여느 다른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매직 메서드인 '__getitem__'에 의해 구현되어 있다. - 열 선택 df['column_name'] - 슬라이싱을 통한 행 선택df[2:5] 이때 유의점1은 df[3] 과 같이 단일 정수값으로 행을 선택하려고 들면 에러가 난다는 점이다. 데이터 프레임에서 ' [ ] ' 연산자는 '칼럼 지정 연산자'로 작동하며, 열 이름 자체가 '..